'Bicycle' 카테고리의 다른 글
2010 Scott Cr1 (0) | 2009.08.09 |
---|---|
TDF 뚜루드 프랑스 장비 (0) | 2008.07.19 |
Trek 트렉 (0) | 2008.04.05 |
랜스 암스트롱 (0) | 2008.03.31 |
08 타사자라 디스크(08 Tasajara Disc) 사용기 (0) | 2008.03.31 |
2010 Scott Cr1 (0) | 2009.08.09 |
---|---|
TDF 뚜루드 프랑스 장비 (0) | 2008.07.19 |
Trek 트렉 (0) | 2008.04.05 |
랜스 암스트롱 (0) | 2008.03.31 |
08 타사자라 디스크(08 Tasajara Disc) 사용기 (0) | 2008.03.31 |
TDF 뚜루드 프랑스 장비 (0) | 2008.07.19 |
---|---|
Specialized S-Works (0) | 2008.06.09 |
랜스 암스트롱 (0) | 2008.03.31 |
08 타사자라 디스크(08 Tasajara Disc) 사용기 (0) | 2008.03.31 |
Independent [인디펜던트] 크로몰리 (0) | 2008.03.21 |
Specialized S-Works (0) | 2008.06.09 |
---|---|
Trek 트렉 (0) | 2008.04.05 |
08 타사자라 디스크(08 Tasajara Disc) 사용기 (0) | 2008.03.31 |
Independent [인디펜던트] 크로몰리 (0) | 2008.03.21 |
Bianchi 1885 Ultegra [비앙키] (0) | 2008.03.03 |
08 타사자라 디스크(08 Tasajara Disc)
※ 직진성
@ 간혹 직진성이 우수하다는 의견들이 있으나 그것은 그닥인듯 합니다. 아직 산에를 가보지 못하고
사용기를 적어서 아쉬운 감이 있습니다. 산에서 어느정도의 성능을 보여줄지 정말 궁금..
@ 처음 구매하시는 분들은 자전거가 좀 길들어야지 잘나갑니다. 처음에 징그럽게 안나가다가
한달500km좀 넘으니 나가기 시작하더라구요.;; 아니면 타이어를 바꾸시기 바랍니다.
생활잔차 타시다가 업그레이드 하시는분들이 많은거같은데 생활잔차가 1.95이다 보니 왜이렇게
안나가라는 생각이 절로 들겁니다. -_- 저역시도 그랬드랬죠..;;
※ 업그레이드
@ 현제 안장만 스페셜 페놈으로 업글했습니다. 순정이 참으로 순정다워가지고.-_-
@ 허브, 림, 싯포스트, 핸들바, 시프트(변속레버) , FOX 100FRLC 이렇게 업그레이드 하고 싶네요..;;
어흥!!
※ 긴 탑튜부
사이즈가 안맞아서 인지 170에 15.5인치를 타고 있는데 손저림 발생 에르곤그립을 사용하면 제거할수
있다고 하나 디자인이 마음에 안들어 아직은 순정 그립 사용중이나 YETI나 리치 스폰지로 교체예정
타사자라만 탈때는 탑튜부가 긴지 모르나
다른 사람 자전거 타보면 타사자라의 탑튜부가 긴것을 확실히 느낌
170에 자신이 다리가좀 짧고 상체가 길다 싶으시면 17인치로 가시기를 추천합니다.
※ 고질적 문제점
@ 시마노 디스크 브레이크 캘리퍼 누유 문제 4xx모델로 달려서 나옵니다. 이 캘리퍼 누유문제가
빈번하여 AS하니 사진과 같이 525모델로 업그레이드 변경되어 왔습니다. 그후 누유 문제 없습니다.
500D에도 같은 모델이 달려 나오나 누유 문제로 지금은 쥬디 모델로 바뀐것으로 나오나 아직
타사자라는 4xx모델을 그대로 사용하여 판매중 조치가 필요할듯 싶습니다.
@ 토라 302 솔로 에어샥 리바운드 혹은 락아웃 부분 누유 저같은 경우 구입후 라딩하다가 2개월만에
자전거를 세어두었는데 바닥에 기름이 있어서 확인해보니 리바운드 부분 누유로 AS보내고 그후
일주일만에 받아 확인하니 락아웃 부분 누유 발생으로 다시 AS 현제 사용중이나 리바운드 코크를
빼보니 6각렌치 모양에 기름이 묻어있어 OD에 확인전화하니 AS하면서 무슨 어셈블리를 교체하면서
묻은 거라고 제거후 사용하면 문제 없을거라 하여 사용중 기존302보다 업그레이드 되었다고 하며,
리바운드 코크가 기존에 방향지시개가 있는거는 90도만 돌아갔으니 이번에 바껴온 코크모양은
두바퀴반이 돌며 좀더 섬세한 리바운드 조절이 가능하다고 합니다. 체감상으로는 지난 샥보다
샥감이 좀더 부드럽고 좋아진듯합니다.
※ 바라는점
@ 단가를 좀 높이더라도 앞드레일러를 LX급으로 뒷드레일러를 XT급으로 했으면 어떨까라는
생각을 갖습니다.
@ 바x, 와x, 자출x등 여러 자전거 커뮤니티 사이트 검색해본 결과 318 302등 토라 샥과 시마노
4xx 디스크브레이크 에서 누유가 많 은점이 확인됩니다.
차후에 나오는 샥과 브레이크에 조치가 좀 있었으면 합니다. 자전거 산지 3개월쯤 되가는데
1개월을 AS로만 보낸점이 참으로 아쉽습니다.
어디까지나 초 주관적인 사용기임을 밝힙니다.
Trek 트렉 (0) | 2008.04.05 |
---|---|
랜스 암스트롱 (0) | 2008.03.31 |
Independent [인디펜던트] 크로몰리 (0) | 2008.03.21 |
Bianchi 1885 Ultegra [비앙키] (0) | 2008.03.03 |
비앙키 9 드롭(Bianchi 9 Drop)[비앙키,미니벨로] (0) | 2008.03.03 |
Trek 트렉 (0) | 2008.04.05 |
---|---|
랜스 암스트롱 (0) | 2008.03.31 |
08 타사자라 디스크(08 Tasajara Disc) 사용기 (0) | 2008.03.31 |
Bianchi 1885 Ultegra [비앙키] (0) | 2008.03.03 |
비앙키 9 드롭(Bianchi 9 Drop)[비앙키,미니벨로] (0) | 2008.03.03 |
프레임 | 1885 ALU-CARBON - geometry sloping sizes 49-51-53-55 |
포크 | Bianchi FLN Carbon/Al 11/8" |
쉬프터 | Shimano ULTEGRA |
뒷디레일러 | Shimano ULTEGRA |
앞디레일러 | Shimano ULTEGRA |
크랭크셋 | Shimano ULTEGRA 53/39 |
체인 | Shimano ULTEGRA |
스프라켓 | Shimano ULTEGRA 12/25 |
휠 | Mavic AKSIUM black |
뒷허브 | - |
앞허브 | - |
림 | - |
타이어 | Michelin LITHION 700x23 |
헤드셋 | Fsa ZS4-CUSTOM |
스템 | RC DA-42FCF 3D forged aluminium covered carbon fiber |
핸들바 | Dedaelementi SFIDA carbon covered |
싯포스트 | RC SP-928-G Carbon fiber 31,6 mm |
안장 | Fizi:k PAVE CX sport |
그립 | La Spirale ribbon |
브레이크 | Shimano ULTEGRA |
브레이크 레바 | Included |
페달 | No |
물통 케이지 | Elite CIUSSI GEL black |
색상 | CA |
Trek 트렉 (0) | 2008.04.05 |
---|---|
랜스 암스트롱 (0) | 2008.03.31 |
08 타사자라 디스크(08 Tasajara Disc) 사용기 (0) | 2008.03.31 |
Independent [인디펜던트] 크로몰리 (0) | 2008.03.21 |
비앙키 9 드롭(Bianchi 9 Drop)[비앙키,미니벨로] (0) | 2008.03.03 |
칼라 | 첼리스트(비앙키 고유 칼라), 청색(Navy blue) |
프레임 | AL7005 PG |
포크 | Hi-Ten fork 1" |
쉬프터 | Shimano SL-7700 |
뒷 디레일러 | Shimano Tiagra |
앞뒤레일러 | Shimano Tiagra 31.8mm |
크랭크셋 | Durabai 52/42T 165mm |
체인 | CN-HG73 |
스프라켓 | CS-HG50 12/25T 9speed |
휠 | |
뒷허브 | Formula RB91 & RB32-S 32H |
앞허브 | |
림 | Jalco DRX-4000 |
타이어 | Kenda K-193 20x1-1/8" |
헤드셋 | First F-995AW 1" |
스템 | Kalloy KL-80/100 |
핸들바 | HL DR-AL-9B |
바엔드 | |
싯포스트 | Kalloy SP-700 27.2mm |
안장 | Brooks B-17 |
핸들그립 | |
브레이크암 | Tektro 992AG |
브레이크레바 | Dia Compe DC-204N |
페달 | VP VP-516A |
비비 | Shimano BB-UN26 68-110mm |
사이즈 | 48, 53 |
Trek 트렉 (0) | 2008.04.05 |
---|---|
랜스 암스트롱 (0) | 2008.03.31 |
08 타사자라 디스크(08 Tasajara Disc) 사용기 (0) | 2008.03.31 |
Independent [인디펜던트] 크로몰리 (0) | 2008.03.21 |
Bianchi 1885 Ultegra [비앙키] (0) | 2008.03.03 |
무릎보호 방법 (2) | 2010.11.01 |
---|---|
효율적인 페달링 방법 (2) | 2009.08.24 |
[자전거] 자전거 도로통행 법률 (0) | 2008.01.04 |
[자출사 펌]
보도 위에 설치된 자전거보행자겸용도로가 사실상 자전거도로의 기능을 하지 못하는 것이 현실입니다.
보행자와 자전거가 좁은 보도 위에서 뒤섞여 다닐 수 있다는 발상 자체가 이미 자전거에 대한 몰이해이고, 자전거를 교통수단으로써 인정하지 않는 태도입니다. 보도 위에서 버젓이 자행되는 자동차들의 불법 주정차와 물건 적치 등은 자전거 뿐만 아니라 보행자의 교통에도 심각한 피해를 주고 있습니다.
도로로서 의미 있는 자전거전용도로는 거의 찾아볼 수도 없지요.
그래서 많은 라이더들이 차도로 주행하고 있습니다.
저의 얕은 법률지식으로는 자전거는 도로교통법상 차마에 속하고 차도로 다니게 되어 있다고 알고 있었습니다. 대부분 라이더들도 그렇게 알고 있을 것입니다.
이게 전혀 틀린 것은 아니지만, 항상 그러한 것은 아니라는 점에 유의해야 합니다.
정확하게 알아보려고 도로교통법과 자전거이용활성화에관한법률을 찾아보았습니다.
우선 개념부터 보겠습니다. 살아가는 데 개념이 중요하죠. 흠흠...
<도로교통법>
제2조(정의)
4. "차도"라 함은 연석선(차도와 보도를 구분하는 돌 등으로 이어진 선을 말한다. 이하 같다), 안전표지나 그와 비슷한 공작물로써 경계를 표시하여 모든 차의 교통에 사용하도록 된 도로의 부분을 말한다.
8. "자전거도로"라 함은 안전표지, 위험방지용 울타리나 그와 비슷한 공작물로써 경계를 표시하여 자전거의 교통에 사용하도록 된 도로의 부분을 말한다.
9. "보도"라 함은 연석선, 안전표지나 그와 비슷한 공작물로써 경계를 표시하여 보행자(유모차 및 행정자치부령이 정하는 신체장애인용 의자차를 포함한다. 이하 같다)의 통행에 사용하도록 된 도로의 부분을 말한다.
16. "차마(차마)"라 함은 다음 각 목의 차와 우마를 말한다.
가. "차"라 함은 다음의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 것을 말한다.
(1) 자동차
(2) 건설기계
(3) 원동기장치자전거
(4) 자전거
(5) 사람 또는 가축의 힘이나 그 밖의 동력에 의하여 도로에서 운전되는 것. 다만, 철길이나 가설된 선에 의하여 운전되는 것, 유모차와 행정자치부령이 정하는 신체 장애인용 의자차를 제외한다.
나. "우마"라 함은 교통·운수에 사용되는 가축을 말한다.
--->>> 도교법상 자전거는 '차' 맞습니다. 그래서 자전거는 '차도'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라고 생각했습니다. 지금까지는.... ^^;;)
다음으로 차마의 통행방법 조항을 보겠습니다.
제13조 (차마의 통행) ①차마의 운전자는 보도와 차도가 구분된 도로에서는 차도를 통행하여야 한다. 다만, 도로 외의 곳에 출입하는 때에는 보도를 횡단하여 통행할 수 있다.
--->>> 역시 '차'에 속하는 자전거는 '차도'로 통행하여야 하군요. 그러나! 더 보겠습니다.
제13조 (차마의 통행) ⑥자전거의 운전자는 자전거도로가 따로 있는 곳에서는 그 자전거도로로 통행하여야 한다.
--->>> 두둥!!
그렇습니다. 도로교통법 제13조 6항의 규정에 따라 자전거는 자전거도로가 옆에 있을 경우 차도가 아닌 자전거도로로 통행해야 하는 것입니다. 대부분 도시의 보도에는 자전거보행자겸용도로가 설치돼 있습니다. 기능을 제대로 하건 말건 대충 페인트 칠만 했건 말건, 웬만한 보도에는 자전거보행자겸용도로가 있습니다.
결국 도시의 라이더들은 차도로 주행할 수 있는 기회가 거의 없다고 볼 수 있습니다. 아무리 엉망인 자전거도로라고 하더라도 차도가 아닌 그 도로로 통행해야 합니다. 법적으로는 말이죠.
이제 자전거를 위한 법률인 자전거이용활성화에관한법률을 보겠습니다.
제3조 (자전거도로의 구분) 자전거도로는 다음과 같이 구분한다.
1. 자전거전용도로 : 자전거만이 통행할 수 있도록 분리대·연석 기타 이와 유사한 시설물에 의하여 차도 및 보도와 구분하여 설치된 자전거도로
2. 자전거보행자겸용도로 : 자전거외에 보행자도 통행할 수 있도록 분리대·연석 기타 이와 유사한 시설물에 의하여 차도와 구분하거나 별도로 설치된 자전거도로
3. 자전거자동차겸용도로 : 자전거외에 자동차도 일시 통행할 수 있도록 차도에 노면표시로 구분하여 설치된 자전거도로
--->>> 우리가 일상적으로 볼 수 있는 보도 위의 자전거도로는 바로 위의 법 제3조 2항에 규정된 자전거보행자겸용도로입니다.
자전거의 통행방법을 보겠습니다.
제15조 (자전거의 통행방법등) ①자전거의 운전자는 도로교통에 관한 법령을 준수하여 자동차의 통행에 방해가 되거나 보행자에게 위해를 주는 일이 없도록 노력하여야 한다.
②자전거의 운전자는 자전거도로를 통행하여야 한다. 다만, 자전거도로가 설치되지 아니한 도로에서는 다른 법령에 통행방법이 따로 규정되어 있는 경우를 제외하고는 보행자에 주의하면서 도로(차도와 보도가 구분된 도로에서는 차도를 말한다)의 우측가장자리 부분으로 통행하여야 한다.
③자전거운전자가 자전거에 탑승한 채로 도로를 횡단하고자 할 때에는 자전거횡단도를 이용하여야 한다.
--->>> 제15조 1항에 따라서 라이더들은 보행자뿐만 아니라 자동차 눈치도 살펴야 합니다. 자전거 운전자가 보행자를 보호하는 것은 당연한 일이지만.....
여하간 제15조 2항에 따라서 자전거는 자전거도로가 있다면 그 도로(보도 위의 자전거보행자겸용도로)를 통행해야 합니다.
정리하겠습니다.
도로교통법과 자전거이용활성화에관한법률에 따르면, 자전거는 자전거도로가 있을 때 차도가 아닌 자전거도로를 통행해야 합니다. 자전거도로가 없다면 차도의 맨 우측을 통행해야 합니다. 보도 위에 자전거보행자겸용도로가 대부분 설치돼 있는 현실을 감안하면, 도시의 라이더들은 거의 차도가 아닌 자전거보행자겸용도로로 다니는 것이 적법하다는 결론이 나옵니다.
따라서 자전거도로가 있음에도 불구하고 차도로 주행하다가 사고가 발생하면 그만큼 과실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
골드님도 언급한 적 있는 것으로 기억하는데, 현실에서는 자전거의 차도 주행을 용인하고 있는 것이지, 그 자체가 적법한 것은 아닙니다.
참고로 몇 가지 조항을 가져왔습니다.
<자전거이용활성화에관한법률>
제17조 (자전거통행의 보호) 자동차의 운전자는 도로에서 운행중인 자전거의 옆을 지날 때에는 자전거운전자의 안전을 고려하여 일정한 거리를 두고 운행하여야 한다.
--->>> 그런데 현실에서는 많은 자동차 운전자들이 자전거 옆을 지날 때 자전거 운전자의 안전을 개무시하여 일정한 위협을 가하고 운행하고 있죠. ㅠㅠ
<도로교통법>
제16조 (통행의 우선순위) ①차마 서로간의 통행의 우선순위는 다음 각 호의 순서에 따른다.
1. 긴급자동차
2. 긴급자동차 외의 자동차
3. 원동기장치자전거
4. 자동차 및 원동기장치자전거 외의 차마
--->>> 자전거는 도교법상 통행 우선순위 최하위를 달리고 있습니다. 자동차에게 열심히 양보하면서 다녀야겠습니다. ㅠㅠ
저는 법학을 전공하지도 않았고, 법률전문가는 더더욱 아닙니다. 일반적인 상식 수준에서 제가 이해한대로 글을 작성하였습니다. 잘못된 내용이 있다면 가차없이(!) 지적해주세요. 어설피 아는 것보다는 정확히 알아두는 게 위급상황 발생시 효과적으로 대처할 수 있을 것 같아서 때아닌 법률공부를 했습니다
무릎보호 방법 (2) | 2010.11.01 |
---|---|
효율적인 페달링 방법 (2) | 2009.08.24 |
[자전거] Cateye Enduro 8 유선 속도계 (0) | 2008.01.25 |